불안 ( 알랭 드 보통 )

2023. 8. 24. 16:18카테고리 없음

728x90

불안 ( 알랭 드 보통 )

 

책소개

알랭 드 보통 저자의 불안 책은 현대인들이 겪는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불안에 대해 탐구하는 책입니다. 저자는 불안의 원인을 사랑결핍, 속물근성, 기대, 능력주의, 불확실성으로 나누고, 철학, 예술, 정치, 기독교, 보헤미아 등의 관점에서 불안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2000여 년의 역사를 지탱해 온 철학, 문학, 종교, 예술 등 방대한 자료를 통해 경제적 능력에서 비롯된 사회적 지위로 인한 불안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국내에서도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받아 40만 부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배우 장동건, 방송인 김제동, 천문학자 심재경 등 유명인사들의 추천을 받았습니다.

 

서문

"나는 불안한 사람이다. 나는 불안한 사람들과 함께 산다. 나는 불안한 세상에서 산다. 나는 불안에 대해 많이 생각한다. 나는 불안에 대해 많이 읽는다. 나는 불안에 대해 많이 쓴다. 나는 불안에 대해 말하고 싶다.

이 책은 불안에 대한 책이다. 이 책은 현대인들이 겪는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불안에 대해 탐구하는 책이다. 이 책은 불안의 원인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해 역사적, 사회적, 심리적 배경을 설명하는 책이다. 이 책은 불안을 해소하는 방법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 철학적, 예술적,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 관점을 소개하는 책이다.

이 책은 불안을 이해하고, 인정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이 책은 나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이 책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불안과 친구가 되고자 한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불안과 싸우지 않고, 협력하고자 한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불안과 함께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불안의 원인

○ 사랑결핍: 우리는 사랑을 통해 자신의 존재에 대한 존중과 관심을 받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은 무시나 외면을 받기 쉽고, 이는 자신의 가치와 자존감을 떨어뜨립니다. 저자는 돈, 명성, 영향력 등은 사랑의 상징이자 수단이라고 주장합니다. 우리는 사랑을 얻기 위해 높은 지위를 바라고, 높은 지위를 얻기 위해 사랑을 희생하기도 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속물근성이 불안의 원인이라고 말합니다.

○ 속물근성: 우리는 자신의 지위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가치를 판단합니다. 그러나 권력 구조가 변화하면 속물의 존경 대상도 바뀌기 때문에, 속물은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게 됩니다. 저자는 이러한 속물의 태도가 불안을 야기한다고 말합니다.

○ 기대: 우리는 성공과 행복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대는 현실과 맞지 않을 때 실망과 고통을 가져옵니다. 저자는 근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기대가 과도하게 부풀어져서, 우리가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게 만든다고 말합니다. 저자는 역사적으로 귀족사회나 기독교사회에서는 불평등이 자연스럽고 정당하다고 인식되어서, 하위 계급은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살았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미국 독립전쟁 이후에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고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이 생겨서, 약간의 차이도 눈에 띄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 능력주의: 우리는 자신의 능력과 성취로 인정받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성공과 실패는 오직 자신의 능력에 달려있다고 생각하면, 실패할 때마다 자신을 비난하게 됩니다. 저자는 이러한 능력주의가 우리에게 부담과 스트레스를 주고, 우리를 비인간적으로 만든다고 말합니다. 저자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인간은 신들에게 의존하고, 운명을 받아들였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근대 이후에는 인간은 신들과 동등하거나 상위에 있는 존재로 여겨지기 시작했고,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합니다.

○ 불확실성: 우리는 미래에 대해 확신을 갖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미래는 항상 예측할 수 없고, 우리의 계획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불확실성이 우리에게 불안과 두려움을 주고, 우리를 비현실적으로 만든다고 말합니다. 저자는 고대의 인간은 신들의 뜻을 알기 위해 점술이나 점괘 등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려고 했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근대 이후에는 인간은 자신의 이성과 과학으로 미래를 통제하려고 했다고 말합니다.

 

불안의 해법

○ 철학: 철학은 우리가 불안을 느끼는 원인을 분석하고, 우리의 인식과 태도를 바꾸어주는 도구입니다. 저자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철학자들이 제시한 다양한 삶의 지혜를 소개하고, 그들이 어떻게 불안과 적대하지 않고, 협력하고자 했는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에피쿠로스는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쾌락은 자연적이고 필요한 것에 만족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불안을 느끼는 것은 우리가 필요 이상의 것을 바라고, 그것을 얻지 못할 때 실망하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적은 것을 기대하면 적은 것으로 행복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예술: 예술은 우리가 불안을 느끼는 대상을 아름답게 변화시켜 주는 도구입니다. 저자는 예술가들이 어떻게 자신의 고통과 공포를 예술작품으로 표현하고, 그것을 통해 위안과 치유를 얻었는지 예시를 들어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바실리 칸딘스키는 자신의 정신적 혼란을 색채와 형태로 표현하면서, 그것을 조화롭고 아름다운 추상화 작품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었습니다.

○ 정치: 정치는 우리가 불안을 느끼는 사회적 조건을 개선해 주는 도구입니다. 저자는 정치적인 행동이 어떻게 우리에게 권리와 자유를 보장하고, 사회적인 정의와 평등을 실현하는데 기여했는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인종차별과 억압에 대항하여 시민권운동을 이끌었습니다. 그는 비폭력 저항과 연설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인종차별 법률의 폐지와 흑인의 정치적 참여를 이루었습니다.

○ 기독교: 기독교는 우리가 불안을 느끼는 죽음과 고통에 대해 위로와 희망을 주는 도구입니다. 저자는 기독교가 어떻게 우리에게 하느님의 사랑과 은혜를 전하고, 영원한 생명과 구원을 약속하는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요한복음 3장 16절에는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라고 쓰여 있습니다. 이 말은 우리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하나님의 자녀로서 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보헤미아: 보헤미아는 우리가 불안을 느끼는 사회적 규범과 편견에 대해 도전하고,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저자는 보헤미아라는 용어가 원래 체코의 한 지방을 가리키는 것에서 어떻게 비전통적이고 반체제적인 삶의 방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바뀌었는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19세기 파리의 몽마르트르 지역은 화가, 작가, 음악가, 배우 등 다양한 예술가들이 모여 살았습니다. 그들은 사회적인 규칙과 관습에 구애받지 않고,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삶을 즐겼습니다.

 

결론

저자는 책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서, 불안은 인간의 삶에 필수적이고 피할 수 없는 감정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불안은 우리를 고통스럽게 만들 뿐만 아니라, 우리를 성장하고 발전하게 하는 동력이기도 합니다. 저자는 불안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철학, 예술, 정치, 기독교, 보헤미아를 제시했지만, 이들은 완벽한 해결책이 아니라, 불안과 대화하고 협력하고자 하는 시도일 뿐이라고 강조합니다. 저자는 불안과 삶의 의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마무리합니다.

“우리는 불안을 이해하고 인정해야 합니다. 우리는 불안을 피하거나 부정하려고 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불안을 친구로 여겨야 합니다. 우리는 불안을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자신의 삶을 개선하려고 해야 합니다. 우리는 불안을 통해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의 삶을 즐기려고 해야 합니다. 우리는 불안과 함께 행복할 수 있습니다.” _ 246쪽

728x90